본문 바로가기

Investment/Book review & news clippings

야마구치 요헤이(2016), 현명한 초보 투자자, 이콘

주식 한 주 매입 = 기업 매수 의사 결정 

기본원칙 = 기업의 본질가치를 꿰뚫어보고, 그것보다 압도적으로 싼 '할인 가격'으로 주식을 산다 


1.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구조 


□ 무엇에 투자해야 하는가 

- 정기예금 : 낮은 금리

- 부동산 : 최소 투자 금액이 크고, 세금 과다, 수고로움 

- 외화예금 : 간편하나, 주식보다 수수료가 비쌈. 투자 대상의 유망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국력/화폐유통량/금리 동향 등을 알아야 함 

- 주식 : 상대적으로 비용, 수고, 최소 투자액 낮으며 투자 대상 유망도확인 간편 


□ 주식으로 돈을 버는 구조

- 기본: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

- 싸게 산다는 것은 '가치'보다 저렴하게 산다는 것 -> 가치를 알아야 함 (가격 ≠ 가치) 

- 주가가 오른 것은 저평가된 주식이 시장에서 평가를 받아 본래 '가치'에 근접하는 것 (가격과 가치의 차이 해소)


※ 화폐의 가치 보존 기능이 '이자'를 만들었으므로, 이 가치보존 기능이 없어지지 않는 이상, 돈은 쓰지 않고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 



2. 가치란 무엇인가


가치는 창출될 이익과 그 불확실성의 밸런스로 결정됨

기대수익률 = 위험을 고려하여 모두가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수익률 -> 기대수익률을 넘어서는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 투자를 한다 


⇒ 투자결정은 위험과 수익률을 기반으로 내리게 됨



3. 기업의 가치 산정


개략 가치 산정 = ( ① 사업가치 + ② 재산가치 - ③ 부채 ) / 발행주식수 


① 사업가치 = 영업이익*(1-t)/R ∽ 영업이익*10 


R : Equity 5~9%, Debt 3% ⇒ 일반적으로 6%에서 조정


② 재산가치 = 유동자산 - (유동부채*1.2) + 투자자산 


※ 전자공시 시스템 : http://dart.fss.or.kr/



4. 가치의 원천


□ 결과 = 재무제표

□ 원인 ??

 1) 무엇에서 돈을 버는가? : 사업별, 지역별, 고객별 

 2) 왜 벌 수 있었는가? 

     

① 시장의 매력도 

수요의 성장 

낮은 경쟁

 - toll bridge형 기업 선호 (워렌버핏)

 - 규제로 보호받는 업계  

② 강한 비즈니스 모델

 높은 이익률

높은 업무 효율 eg. SPA 

 프랜차이즈/네트워크 사업 : 레버리지모델, OPT(other people's time)

독점적 사업(지적 재산) 

신뢰가 두터운 기업 eg. 명품  

 확장 가능성

같은 고객  → 다른 상품

다른 고객  → 같은 상품  



 ⇒ "소형", "저평가", "성장주" 위주 투자 (좋은회사 ≠ 좋은 투자대상)


※ 투자이익 = 거래당 이익률 x 거래횟수 (워렌 버핏의 경우 자산규모가 너무 커서 회전이 불가, 개인투자자의 경우 자산 크지 않아 회전율 중요) 



5.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


 □ 매도 포인트 : 1) 종목 선택을 잘못했을 때, 2) 현금이 필요할 때, 3) 다른 유망 종목에 갈아탈 때

 □ 좋은 투자 대상 : 1) 가치와 가격의 차이가 클 것, 2) 그 차이가 해소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짧을 것



6. 감정 컨트롤 하기


□ 주식으로 손해를 보는 이유 : 이익은 확실하게, 손해는 피하려는 생각 → Behavior Finance 이해

□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 : 기업의 가치가 훼손되지 않았다면, 매수를 늘리기 


□ 투자에 도움이 되는 습관

 1) 주가가 '올라갈까 내려갈까'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'저평가 되었는가 아닌가'에 주목하기

 2) 의견이 아니라 사실에 근거하여 판단하기

 3) 결과가 아니라 그 이면에 있는 원인을 직시하기

 4) 모든 것을 알 필요는 없다. 가치의 본질 파악하기

 5) 투자는 수단이지 목적은 아니라는 것을 알기 

 6) 수입의 최소 10%는 증권계좌에 불입 

 7) 겸허히 배우는 자세를 간직하기